본문 바로가기
마인드풀니스

(영화)Inside out: 우울한 감정도 소중히

by 빛나는존재 2022. 4. 19.
반응형

사람의 마음이 여러 가지 인격체를 가진 캐릭터라면 어떨까

사람은 여러가지 감정을 갖고 있다. 영화 inside out에서는 사람이 기본적으로 갖고 있는 기쁨, 우울, 분노, 불안 등의 감정을 독립된 인격체인 것으로 가정하고 그들이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보여주는 신선한 시도를 한다. 순수한 시골 소녀 Riley의 마음속에는 기쁨, 우울, 까칠 (disgust), 소심, 분노라는 다섯 가지 감정 캐릭터가 존재하며 그 캐릭터가 핸들을 쥘 때 그 감정의 특성이 Riley의 행동으로 표출된다. 예를 들어 기쁨이란 감정이 핸들을 쥐면 Riley는 기쁜 행동을 하고, 분노라는 감정이 핸들을 쥐면 분노를 거침없이 표출한다. 이러다가 저녁 식사 자리에서 부모님께 혼이나기도 한다. 물론 사람의 감정은 이러한 5가지만으로 이뤄져 있지 않고 훨씬 더 복잡하고 다양하다. 기쁨 중에서도 환희, 안도, 슬픔 중에서도 울화, 무력, 분노 중에서도 격노, 억울 이러한 감정들이 세분화되어 있다. 하지만 이렇게 인간이 가진 기본적인 감정들을 독자적인 인격체로 바라본 시도가 인상적이고 신선했다.

 

시골마을에서 대도시인 샌프란시스코로 이사 후 환경 변화

Riley 는 시골에서 엄마 아빠와 행복하게 자연의 풍경을 만끽하며 자라난다. 겨울에는 얼어있는 호수에서 아이스하키를 하는 등 활동적인 소녀이다. 그러던 어느 날, 갑자기 대도시인 샌프란시스코로 이사를 가게 된다. 물론, 나처럼 city person은 시골에 있다가 샌프란시스코에 가는 것이 행복하겠지만, Riley 에게는 그것이 불행의 시작으로 작용했다. 급격한 환경의 변화로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된 것이다. 새로운 학교에 가서 자기소개를 하다가도 갑자기 눈물을 보이고, 부모님께 무례하게 대하다가 부모님과의 관계에 트러블이 생기고, 아이스하키를 하다가도 갑자기 화를 내며 퇴장하는 미성숙한 모습을 보여준다. 급기야 Riley는 도시생활을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 혼자서 부모님 몰래 자신이 원래 살던 시골로 돌아가는 버스를 타는 엄청나게 위험을 행동을 하게 된다. (다행히 버스가 출발하려는 순간, 다시 Riley는 그 버스에서 내리게 되고 자신을 찾아 헤매던 부모와 극적인 상봉을 하게 되며 영화는 행복하게 막을 내린다.) 환경이 이렇게 갑자기 변화하게 되면 어린아이뿐만 아니라 성인들도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수 있다. 나 역시 마찬가지였다. 나는 대도시에서 사는 것이 편한데 예전에 직장을 구한 곳이 시골이다 보니 부모님과도 떨어져서 살아야 했고 시골의 환경이 나에게는 익숙하지가 않아서 많이 우울하고 힘들었었다. 성인인 나도 환경이 바뀌면 이렇게 힘든데, 어린 Riley는 얼마나 힘들었을지 생각하면 마음이 아프다. 환경이 변화하는 것은 그만큼 사람들을 취약하게 만든다.

 

슬픔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인정 해주는 것의 중요성

한국 사회에서는, 특히나 남자들에게는 부정적인 감정을 억압하는 것을 가르친다. 눈물을 보여서는 안 되고, 약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사회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만약 남자가 많은 사람들 앞에서 눈물을 보였다간 대중들의 조롱과 비난을 받게 되기 쉽다. 그렇게 우리들은 슬픔, 무기력, 분노 등의 부정적인 감정들을 표현해서는 안되고 억압해야 한다고 배워왔고, 그것을 작 할수록 사회에서 인정을 받는다. 하지만 감정을 억압하면 그 감정은 억압하는 에너지만큼 더욱더 강력하게 자신의 존재를 어필하려고 애쓰게 된다. Riley 가 가지고 있는 우울한 감정 역시 그러하다. Riley는 필사적으로 우울한 감정이 표출되지 않도록 애썼지만 결국 문제는 우울한 감정을 있는 그대로 존중해 주며 건강하게 표현될 때 비로소 해결되었다. 부정적인 감정은 정말 부정적인 결과만 초래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한 부정적인 감정도 다 나름의 존재 가치가 있고 그것을 인정받아야 우리는 부정적인 감정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물론 이것도 연습이 필요하다. 우리가 어렸을 때부터 감정을 억압하는 것을 배웠던 만큼, 감정을 건강하고 지혜롭게 표출하고 이를 스스로 관찰할 수 있다면 더욱 성숙한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