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물가가 상승하는 이유: 화폐의 지속적인 공급으로 인한 가치의 하락

by 빛나는존재 2022. 4. 17.

 

물가가 꾸준히 상승하는 현상

자본주의 체제에서는 시간이 갈수록 점차 물건의 가치에 비해 가격은 계속 올라가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가 어렸을 때 즐겨먹던 아이스크림의 가격은 지금 가격의 10% 정도에 불과하며, 월세 또한 연단 위로 올라간다. 이에 따라 사업주는 노동자들에게 지급해야 하는 월급 또한 이러한 상승률을 반영하여 매년 올려주어야 한다. 동일한 물건과 서비스에 대한 가격은 왜 시간에 따라 상승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기본적으로 통화 가치는 공급량에 의해 결정된다. 시중에 있는 통화량이 적다면 통화 가치는 올라갈 것이고 반대의 경우에는 내려갈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통화량 증가하고 점차 통화 가치가 줄어드는 시스템 속에서 살고 있다. 그 이유는 은행은 은행이 보유한 금액 이상으로 대출을 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은행은 부분 지급 준비율에 해당하는 만큼만 현금을 보유하고 있으면 된다. 부분 지급 준비율이란 은행이 예금 고객에게 줄 돈으로 보유해야 하는 비율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서 100원이 들어오면 10원만 남겨놓고 나머지 90원은 대출해 줄 수 있다.

뱅크런 현상의 역사

그러면 이쯤에서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은 의아해질 것이다. 그럼 예금한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려와 자신들의 돈을 찾아가겠다고 하면 무슨일이 일어날지 상상해보면 결말은 뻔하다. 결국 이런 날이 오면 은행은 망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뱅크런 현상이라고 하며 300-400년 전부터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주기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가장 최근에 발생한 뱅크런 사태는 러시아가 서방국가의 제재를 받으면서 나타났다. 러시아 시민들은 루블화 가치가 폭락하는 것에 대항하여 루블화를 달러화로 환전하여 대규모로 인출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러한 현상의 역사를 알기 위해서는 영국에서 화폐를 금화로 사용하던 때로 돌아가야 한다. 영국의 금세공업자는 금화를 금고에 보관하고 보관증을 발행해줬다. 금화는 무겁고 휴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람들은 거래를 할 때 점차 금화 자체보다는 보관증으로 대신 거래하기 시작했다. 어차피 보관증만 있으면 해당하는 액수만큼의 금화를 발급받을 수 있다는 신용이 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여기서 금세공업자는 사람들이 한꺼번에 금화를 인출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눈치채고 마치 돈이 있는 것처럼 있지도 않은 돈을 대출해 주고 이자로 엄청난 이득을 보게 되었다. 무려 금고에 보유한 금화보다 10배에 달하는 돈을 대출한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금세공업자가 부유해지는 것을 수상히 여기고 한 번에 여러 사람들이 예금 인출을 요구하자 파산하기에 이르렀고 이것이 현대 뱅크런 현상의 시초가 되었다. 참고로 우리나라에서는 은행이 파산을 하더라도 예금자 보호법이 적용되는 경우 5000만 원까지 보장받을 수 있다.

영국 왕실, 있지도 않은 돈을 대출 할 수 있도록 정식으로 허가하다

이렇게 해서 망한줄만 알았던 금세공업자는 부활의 기회를 맞이 하게 된다. 영국 왕실이 금세공업자에게 있지도 않은 돈을 대출할 수 있도록 정식으로 허가 (chartered)를 한 것이다. 앞서 설명된 바에 의하면 금세공업자는 금고에 있는 돈의 10배를 대출했으므로 실제로 예금 인출에 대해 10%에 해당하는 금액만 지급할 준비가 된 것이다. 이것을 지급준비율로 책정을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식으로 돈이 불어나게 된다.

최초의 값을 100으로 설정하고 이 값에 1.9를 곱한 후, 직전의 값에 1.9를 곱해준 값이 계속 더해지며 마치 마트료시카 인형처럼 늘어나는 구조이다. 1.9 를 곱하는 이유는 지급 준비율이 0.1이므로 원금의 0.9배(즉, 1에서 0.1을 뺀 값)의 돈이 시중에 돌아다니게 되기 때문이다.

이 지급준비율이 낮을수록 시중에는 실제 존재하는 것 보다 더 많은 화폐가 풀려나게 된다. 여기서 만약 새로운 화폐가 더 발행되지 않으면 모든 사람들이 대출을 갚을 수 없고 누군가는 파산하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화폐를 생산해야 하고, 이러한 시스템 하에서는 화폐 가치가 낮아져 물가가 상승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지금까지 EBS 자본주의 다큐멘터리 1부 돈은 빚이다, 세계 경제 기사를 바탕으로 자본주의 체제에서의 물가 상승의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다.

 

 

반응형